주요내용 : 2021년 주민자치 전국 민·관·학 현장 포럼의 연속 기획으로 포럼의 안정적, 지속적 운영을 통해 민·관·학 3주체가 협력하여 주민자치 현장 기반 문제해결을 위한 공론장과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사업 진행
포럼 의장단 및 운영위원회 운영 지원 : 세종주민자치연합회, 주민자치법제화전국네트워크, 한국주민자치중앙회, 행정안전부,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한민국시군자치구의회의장협의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정치학회(이상 10개 단체)
주요내용 : 내일신문의 의뢰로 2022년 대선에서 20대 청년 유권자의 표심 변화를 살펴보는 심층그룹인터뷰를 기획 운영하였다. 더가능연구소 서복경 대표의 진행으로 9명의 20대 청년 유권자가 총3회 참여하였다. 심층그룹인터뷰 결과는 내일신문 연재기획 “대선 20대 표심 ‘심층추적’ 좌담회”라는 제목으로 기사화되었다.
능력주의와 공정, 청년세대 부채·주거, 격차와 불평등 등 2021년 한국사회에서 청년을 둘러싼 주요 현안을 전문가들과 분석·토론하고 전환기 사회에 맞는 청년정책 방향을 도출하는 연속 세미나 및 컨퍼런스 개최
연속 세미나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청년정책연구단 주요 과제 9가지(①능력주의와 공정, ②부채, ③격차와 불평등, ④청년정책 정의와 패러다임 변화, ⑤주거, ⑥젠더, ⑦전달체계, ⑧교육, ⑨전환기 사회 청년이슈)로 구성하여 비공개 세미나 진행하고 이슈브리프 발행
공개 컨퍼런스는 세미나 내용 중 2022년 청년정책 방향 설정에 필요한 주요 주제를 엮어 2개 세션으로 2월 25일(금) 진행했으며, 세션 1은 한국사회 변동과 청년정책의 조건을 주제로, 세션 2는 청년정책의 진단과 과제라는 주제로 산업구조 변동, 부채, 격차와 불평등, 주거, 젠더, 교육 이슈를 논의
마을자원 기초조사 항목(일반현황, 행정정보, 정책자원, 주민자치 활동 등) 및 지표 설계
로컬데이터 기반 마을의제 수립 데이터 분석모델 개발
지리·공간 정보 분석 도구를 활용한 공간데이터 분석방법론 설계 및 분석
은평구 민원데이터 분석 방법론 설계 및 분석
기초조사, 데이터 분석 결과 등을 활용한 마을의제 컨설팅
마을의제 수립을 위한 현장(주민자치회, 공무원, 중간지원조직 등) 인터뷰
마을의제 발굴을 위한 주민자치회 대상 설문조사
데이터 기반의 동(洞) 특성을 반영한 마을의제 도출 및 컨설팅
마을자원 로컬데이터 아카이빙 플랫폼 모델 구축 방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