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가능연구소 포트폴리오

기록하고 연결하며 탐색하고 공유합니다

  • 과제명 : 2023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지원 컨설팅 
  • 발주처 : 의정부 시의회
  • 수행기간 : 2023.4 ~11
  • 주요내용
    •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기초의원의 역할 제고 방안
    • 시의회와 지방정부 간의 견제와 협력을 위한 제도적 방안
    • 의정부시 재정분석 및 개선방안
  • 과제명 : 2023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지원 컨설팅
  • 발주처 : 은평구청
  • 수행기간 : 2023.3 ~9
  • 주요내용 : 은평구 11개 동 주민자치회 대상 컨설팅, 기초 지역조사, 로컬 데이터 분석,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중·장기 마을 의제 제시
  • 수행내역
    • 은평구 16개 동 주민자치회장과 함께하는 민관공동실행단 운영 : 6회
    • 주민자치회 정기회의 참관 : 22회(11개 동별 1, 2차 진행)
    • 주민 설문조사 : 2,579명(16개 동)
    • 주민자치회 설문조사 : 352명(11개 동)
    • 주민자치회장 인터뷰 : 11명
    • 주민자치회 인터뷰 : 11회(각 동별 4∼5명씩 진행)
    • 공무원 인터뷰 : 2회(4개 동을 1그룹으로 2회 진행, 8개 동 공무원 참여)
    • 주민총회 참관 : 11회
    • 워크숍 : 3회(2차 워크숍은 중간보고회 병행)
    • 보고회 : 3회(착수, 중간, 결과 및 성과공유회)
  • 결과보고서 목차
    • Ⅰ. 컨설팅 용역 개요
    • Ⅱ. 주민자치회 정책 환경
    • Ⅲ. 설문조사
    • Ⅳ. 인터뷰
    • Ⅴ. 마을의제
    • Ⅵ. 은평형 주민자치회 활성화 방안
  • 참여인력
    • 책임 : 엄관용(더가능연구소)
    • 공동 : 서복경, 이영재, 조희정, 이상돈, 김미선, 정현미, 이혜빈(더가능연구소)
  • 과제명 : 성미산학교 진단과 평가 연구
  • 발주처 : 성미산학교
  • 수행기간 : 2023.1~10
  • 주요내용 : 성미산학교 교사(현직_전직)/학부모(재학생_졸업생)/학생(재학생_졸업생) 대상 설문조사, 인터뷰, 자문회의를 통해 20년 평가와 현재 진단, 대안 모색
  • 수행내역
    • 서지자료 분석: 2004년-2023년 총회 자료집, 이사회 및 학교운영위원회 회의록, 교사회 발간 자료 분석
    • 자문위원회 운영: 대안교육 전문가 2인, 성미산학교 전직 교사 2인, 졸업생 2인, 졸업 학부모 2인
    • 사전 인터뷰: 학부모 3인, 교사 3인, 학생 6인, 성미산회 이사장, 성미산마을교육연구소 소장
    • 설문조사: 학부모 108명, 교사 및 교직원 18명, 학생 24명
    • 집단 및 개인 심층면접: 학부모 10인, 교사 및 교직원 14인, 학생 9인
    • 보고회: 착수보고회 1회, 중간보고회 1회, 최종보고회 2회
    • 설명회: 전체 학부모 설명회 1회, 전체 교사회 설명회 1회
  • 결과보고서 목차
    • I. 연구개요
    • II. 지나온 20년
    • III. 지금, 서로의 생각
    • IV. 성미산학교를 둘러싼 환경
    • V. 진단과 대안
  • 참여인력
    • 책임 : 서복경(더가능연구소)
    • 공동 : 엄관용, 정현미, 이혜빈(더가능연구소)


  • 과제명 : 민주주의발전 유공 정부포상 DB구축 및 발굴사업 연구
  • 발주처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수행기간 : 2022.8~11
  • 주요내용 : 민주주의발전 유공 정부포상 관련 선행연구(사업회, 2021) 검토 및 보완
  • 수행내역
    • 민주화운동 유공자 후보 명단 및 관련 자료 정리 방안 제시
    • 인물 발굴 및 조사 관련 정리 방안 제시(유사 사례 포함-독립·호국 등)
    • 분야별(DB구축, 발굴) 연차 계획 제시(인력 규모 포함) 등
  • 과제명 : 횡성군 도시재생 활성화 워크숍 운영
  • 발주처 : 횡성군청
  • 수행기간 : 2022.7~8
  • 주요내용 : 횡성군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안을 검토하고 군단위, 면단위 도시재생 특화모델을 수립하기 위한 이해관계자 등 공론의 장 마련 및 공모사업 내실화 추진
  • 수행내역
    • 횡성읍·우천면 활성화계획(안) 검토 및 리뷰
    • 군단위, 면단위 도시재생 모델링 특강
    •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한 주민공동체와 사회적경제 생태계 사례 검토
  • 참여인력
    • 책임 : 이상돈(더가능연구소)
  • 과제명 : 부산시 청년정책 성과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도출 연구 
  • 발주처 :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 수행기간 : 2022.6 ~12
  • 주요내용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간 진행된 제1차 부산시 청년정책 기본계획의 성과 분석을 바탕으로 부산시 청년정책의 재구조화 방향을 도출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
  • 수행내역
    •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및 민선7기 로드맵 기준 성과 평가
    • 분야별 주요 사업 성과지표 도출
    • 연도별 추진실적에 따른 달성률 확인
    • 유사 지자체(광역시) 청년정책 비교 분석
    • 인천, 광주, 대구 제도, 사업 예산 및 현황, 추진체계 비교
    • 제2차 부산시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방향 및 방법론 제안
  • 결과보고서 목차
    •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 Ⅱ. 부산시 청년정책 분석
    • Ⅲ. 다른 지역의 청년정책 : 인천, 광주, 대구
    • Ⅳ. 2023년, 청년정책 환경 변화
    • Ⅴ. 2023년, 청년정책 제안
    • Ⅵ. 제2기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제안
  • 참여인력
    • 책임 : 서복경(더가능연구소)
    • 공동 : 정현미, 이상돈(더가능연구소), 민희(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과제명 :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발굴 지원 및 강화 동단위 컨설팅
  • 발주처 : 은평구청
  • 수행기간 : 2022.5 ~10
  • 주요내용 : 은평구 5개동(갈현2동, 수색동, 신사2동, 응암1동, 진관동) 주민자치회 대상 마을의제 고도화를 위한 컨설팅을 통해 마을자원과 주민수요에 부합하는 마을의제 사업 고도화 제안
  • 수행내역
    • 은평구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도출을 위한 기초 조사: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은평구 5개동(갈현2동, 수색동, 신사2동, 응암1동, 진관동) 마을자원 특화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기초조사, 데이터 분석 활용 설문조사, 인터뷰 등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컨설팅
    •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정의, 과정, 실행 방안 제시
    • 은평구 5개동 동 단위 기초조사 및 마을의제 고도화 제안
  • 결과보고서 목차
    • Ⅰ. 과업 개요
    • Ⅱ. 은평구 지역 종합 분석
    • Ⅲ.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은평구 종합 제안
    • Ⅳ. 동 단위 기초조사 & 컨설팅
  • 참여인력
    • 책임 : 서복경(더가능연구소)
    • 공동 : 엄관용, 이상돈, 정현미(더가능연구소)
  • 과제명 : 청년마을 성과분석을 통한 청년정착 및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 발주처 : 행정안전부
  • 수행기간 : 2022.6 ~12
  • 주요내용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간 진행된 청년마을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청년 정착과 지역활성화를 위한 사업 유형, 운영 전략, 성과 측정 지표 등을 제시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
  • 수행내역
    • 청년마을사업의 성과와 참여자 만족도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참여자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기반으로 사업 운영 현황과 성과 평가
    • 설문조사 : 27개 청년마을 참여자 표본 490명
    • 인터뷰 : 청년마을 사업체 대표, 지역 주민, 참여 청년, 공무원 등 50명
    • 사업 유형별 성과 측정 지표 개발 및 지역 활성화 사례 연구
    • 국내외 청년 지원 제도 및 사례를 참고한 발전 방안 제안
    • 청년정착 및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속 가능한 운영 전략 도출
  • 결과보고서 목차
    • Ⅰ. 연구 배경
    • Ⅱ. 청년마을사업체 운영 현황
    • Ⅲ. 참여자의 평가
    • Ⅳ. 청년마을사업 성과 측정
    • Ⅴ. 국내외 청년 지원 제도와 사업
    • Ⅵ. 청년마을사업의 유형과 특징
    • Ⅶ. 결론: 청년마을사업의 과제와 비전
  • 참여인력
    • 책임 : 조희정(더가능연구소)
    • 공동 : 서복경, 정현미, 이상돈, 이영재, 엄관용(더가능연구소), 김주영(씨앗문화예술협동조합)
  • 과제명 : 역대 대법원장 등 법원 주요인사 구술채록 DB구축 사업
  • 발주처 : 법원도서관 
  • 수행기간 : 2022.5 ~12
  • 주요내용 : 역대 대법원장 3인 대상 20시간 이상의 구술 채록 사업으로, 사건사와 생애사를 중심으로 구술 기획, 면담, 결과물 산출의 전반적인 과업을 수행
  • 수행내역
    • 대한민국 법원 주요 인사의 재임 시기와 생애사를 분석하고 구술채록 대상자 선정 : 김용준 대법관, 신성택 대법관, 이상훈 대법관
    • 법원 역사 및 사법 정책 변화를 반영한 구술 질문지 설계
    • 구술 채록 과정에서 음성, 영상, 녹취록 등 다각적 산출물 제작
    • 산출물의 체계적 정리 및 검색이 가능한 DB로 아카이빙
    • 구술자별 법원 역사와 주요 사건에 대한 기록물 보존
  • 결과보고서 목차
    • Ⅰ. 개요
    • Ⅱ. 사업 수행 내용
    • Ⅲ. 구술 준비 과정
    • Ⅳ. 구술채록
    • Ⅴ. 구술면담 후 결과물 산출
  • 참여인력
    • 책임 : 김택호(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 공동 : 손동유(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이영재(더가능연구소)
    • 보조 : 엄관용(더가능연구소), 김환태(다큐이야기), 김수경(속기법인 대한)
  • 과제명 : 2022년 주민자치 전국 민·관·학 현장 포럼 
  • 발주처 : 행정안전부
  • 수행기간 : 2022.4 ~ 9
  • 주요내용 : 2021년 주민자치 전국 민·관·학 현장 포럼의 연속 기획으로 포럼의 안정적, 지속적 운영을 통해 민·관·학 3주체가 협력하여 주민자치 현장 기반 문제해결을 위한 공론장과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운영
  • 수행내역
    • 포럼 의장단 및 운영위원회 운영 : 세종주민자치연합회, 주민자치법제화전국네트워크, 한국주민자치중앙회, 행정안전부,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한민국시군자치구의회의장협의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정치학회(이상 10개 단체)
    • 주민자치 현장 기반 정책 논의를 위한 연구분과위원회: 3개 분과 7개 소주제 35명 구성, 분과별 1회, 소주제연구팀별 3회 운영
    • 주민자치 현장의 목소리 반영 위한 자치분과위원회: 광역 및 기초 주민자치연합회장 33명 구성, 3회 운영
    • 세미나·학술대회: 오프닝 세미나, 학술대회, 성과공유회(2차 세미나) 기획 운영
    • 주민자치 학습모임 공모 지원사업 기획 운영: 자율 학습모임 21개, 주제별 학습모임 4개
  • 결과보고서 목차
    • Ⅰ. 일반사항
    • Ⅱ. 의장단·운영위원회
    • Ⅲ. 분과위원회
    • Ⅳ. 세미나·학술대회
    • Ⅴ. 주민자치 학습모임
    • Ⅵ. 종합 평가
  • 참여인력
    • 책임 : 서복경(더가능연구소)
    • 공동 : 조희정, 이영재, 엄관용, 이상돈, 정현미(더가능연구소), 노민영, 김지훈, 김성훈, 정유나, 박지양(사회혁신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