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가능연구소 포트폴리오

기록하고 연결하며 탐색하고 공유합니다

  • 과제명 : 2023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지원 컨설팅
  • 발주처 : 은평구청
  • 수행기간 : 2022.3 ~9
  • 주요내용
    • 민관공동실행단 구성 및 운영
      • 구성인원 : 동 주민자치회, 지역활동가, 시민단체, 대학, 행정 등 포함
      • 기초 역량강화 교육 및 정기회의 운영
      • 용역실행계획 수립 위한 의견수렴과정 추진
      • 사업결과 평가 · 의견공유 등
    • 마을의제 고도화를 위한 기초 지역조사 실시

    • 은평구 지역생활권별(11개동) 로컬데이터 기초조사 모델 수립

    • 마을자원 기초조사 항목(일반현황, 행정정보, 정책자원, 주민자치 활동 등) 조사 및 지표 설계

    • 로컬데이터 기반 마을의제 수립 데이터 분석

    • 지리·공간 정보 분석 도구를 활용한 공간데이터 분석 및 방법론 설계

    • 은평구 민원데이터 분석 및 방법론 설계

    • 기초조사, 데이터 분석 결과 등을 활용한 마을의제 컨설팅

    • 마을의제 수립을 위한 현장(주민자치회, 공무원, 일반주민 등) 인터뷰

    •  마을의제 발굴을 위한 주민자치회·주민 대상 설문조사

    • 데이터 종합분석을 통한 동별 세부 실행과제 도출

    • 데이터 기반의 동(洞) 특성을 반영한 마을의제 컨설팅

    • 마을자원 아카이브 플랫폼 구축 방안 제시

    • 주민 스스로 마을의제 발굴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인프라 구축

    • 기존 동단위 의제발굴을 넘어 지역생활권 단위 의제 공유

    •  특성화된 중·장기적 마을 의제 제시

  • 과제명 : 성미산학교 진단과 평가 연구
  • 발주처 : 성미산학교
  • 수행기간 : 2023.1~10
  • 주요내용 
    • 성미산학교 성과 진단과 발전 방안 도출
    • 학생, 교사, 학부모 3주체 중심의으로 설문조사, 인터뷰 수행 및 분석
    • 교육과정, 회의 운영, 재정 운영에 대한 자료 분석
  • 과제명 : 민주주의발전 유공 정부포상 DB구축 및 발굴사업 연구
  • 발주처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수행기간 : 2022.8~11
  • 주요내용 : 민주주의발전 유공 정부포상 관련 선행연구(사업회, 2021) 검토 및 보완
    • 민주화운동 유공자 후보 명단 및 관련 자료 정리 방안 제시
    • 인물 발굴 및 조사 관련 정리 방안 제시(유사 사례 포함-독립·호국 등)
    • 분야별(DB구축, 발굴) 연차 계획 제시(인력 규모 포함) 등
  • 과제명 : 횡성군 도시재생 활성화 워크숍 운영
  • 발주처 : 횡성군청
  • 수행기간 : 2022.7~8
  • 주요내용 : 횡성군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안)을 검토하고 군단위, 면단위 도시재생 특화모델을 수립하기 위한 이해관계자 등 공론의 장 마련 및 공모사업 내실화 추진
    • 횡성읍·우천면 활성화계획(안) 검토 및 리뷰
    • 군단위, 면단위 도시재생 모델링 특강
    •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한 주민공동체와 사회적경제 생태계 사례 검토
  • 과제명 : 부산시 청년정책 성과분석 및 향후 발전방안 도출 연구 
  • 발주처 :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 수행기간 : 2022.6 ~12
  • 주요내용 
    • 정부, 지자체 청년정책 추진현황 조사 
      • 중앙정부 정책 자원 현황 : 부산시 가용자원 중심으로
      • 유사조건 광역시 청년정책 구조, 영역 비교
    • 부산시 청년정책 성과 분석
      • 기본계획, 연도별 시행계획 시행상과 정합성 분석
      • 분야별 사업 중복성 분석 : 범주, 사업, 대상 등
      • 데이터 기반 대표 사업 적절성 분석
    • 부산시 청년정책 추진 발전방향 도출
      • 2023년 시행계획 반영을 위한 정책 재구조화 제안
      • 2기 청년정책 기본계획 마련 방법론 제안


  • 과제명 : 주민자치회 마을의제 발굴 지원 및 강화 동단위 컨설팅
  • 발주처 : 은평구청
  • 수행기간 : 2022.5 ~10
  • 주요내용 : 지속가능한 은평구 마을 발전을 위한 마을의제 고도화, 특성화된 중‧장기적 마을의제 발굴 및 자료 제공
    • 마을의제 고도화를 위한 기초 지역조사
      • 은평구 지역생활권별(5권역) 로컬데이터 기초조사 모델 수립
      • 마을자원 기초조사 항목(일반현황, 행정정보, 정책자원, 주민자치 활동 등) 및 지표 설계

    • 로컬데이터 기반 마을의제 수립 데이터 분석모델 개발

    • 지리·공간 정보 분석 도구를 활용한 공간데이터 분석방법론 설계 및 분석

    • 은평구 민원데이터 분석 방법론 설계 및 분석

    • 기초조사, 데이터 분석 결과 등을 활용한 마을의제 컨설팅

    • 마을의제 수립을 위한 현장(주민자치회, 공무원, 중간지원조직 등) 인터뷰

    • 마을의제 발굴을 위한 주민자치회 대상 설문조사

    • 데이터 기반의 동(洞) 특성을 반영한 마을의제 도출 및 컨설팅

    • 마을자원 로컬데이터 아카이빙 플랫폼 모델 구축 방안 제시

  • 과제명 : 청년마을 성과분석을 통한 청년정착 및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 발주처 : 행정안전부
  • 수행기간 : 2022.6 ~12
  • 주요내용
    • 기존 청년마을(15개)  및 2022년 신규 청년마을(12개) 성과 분석
    • 청년 자립방안 연구 및 지역정착에 유효한 청년 정책 조사
    • 청년마을 지속을 위한 정책 제언
  • 과제명 : 역대 대법원장 등 법원 주요인사 구술채록 DB구축 사업
  • 발주처 : 법원도서관 
  • 수행기간 : 2022.5 ~12
  • 주요내용 : 전직 대법원장을 비롯한 대법관을 대상으로 구술자료를 생산하는 과업으로 다음과 같은 목표로 수행 예정
    1. 행위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활동과 법적, 정치적 맥락을 조망할 수 있는 기록물 생산
    2. 법원 주요인사의 육성과 모습을 기록으로 보존 
    3. 법원사 연구의 기초자료 생산 
    4. 문서기록만으로 파악할 수 없는 행위 맥락을 다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는 기록물 생산 
  • 과제명 : 2022년 주민자치 전국 민·관·학 현장 포럼 
  • 발주처 : 행정안전부
  • 수행기간 : 2022.4 ~ 9
  • 주요내용 : 2021년 주민자치 전국 민·관·학 현장 포럼의 연속 기획으로 포럼의 안정적, 지속적 운영을 통해 민·관·학 3주체가 협력하여 주민자치 현장 기반 문제해결을 위한 공론장과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사업 진행
    • 포럼 의장단 및 운영위원회 운영 지원 : 세종주민자치연합회, 주민자치법제화전국네트워크, 한국주민자치중앙회, 행정안전부,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한민국시군자치구의회의장협의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정치학회(이상 10개 단체) 
    • 현장 기반 정책 논의를 위한 분과위원회 및 소주제연구팀 구성 및 운영 
    • 오프닝 세미나 및 2차 세미나(공론장) 기획 운영 
    • 주민자치 관련 학술대회(2회) 기획 운영 
    • 주민자치 학습모임 공모 지원사업 기획 운영
  • 과제명 : 경기도 마을공동체사업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 연구
  • 발주처 : 경기도 마을공동체지원센터
  • 수행기간 : 2022.3 ~ 2022.11
  • 주요내용 
  • 본 연구는 경기도 시군 마을만들기 활동의 주체인 민-관-중간지원조직의 합의에 기반하여 성과지표 개발을 위해 진행하는 시범사업
  • 경기도 마을공동체 사업의 유형을 공동체가치형, 지속가능한 가치형, 사회적가치형으로 나누어 정량, 정성지표를 도출, 시범사업을 통한 타당성 연구
  • 경기도 마을만들기 성과지표의 유형별 사례에 대한 시범사업을 통해 경기도 마을공동체 사업 성과평가를 위한 성과지표를 도출

04071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지길 36-12, 1층 (합정동, 꾸머빌딩)

전화 02-336-4050 / 팩스 02-336-4055
이메일 plan@theposslab.kr
정보관리책임자 : 이상돈

Copyright 2022. 더가능연구소 all rights reserved.